VIDEOCUBE
gitLab 에 network 라는 그룹을 만들고 ping 이라는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 Create a new repositorygit clone http://git.videocube.lab/network/ping.git cd ping touch README.md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add README" git push -u origin master Existing foldercd existing_folder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git.videocube.lab/network/ping.git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Exist..
기존 사설 DNS 편에서 설치 했던 DNS 기본 설치 항목에서 /var/named 에 설치가 되어있다 기본 디렉토리를 이용하면 좋지만 /var 의 여유공간을 적게 잡았을 경우 작업 폴더를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작업 폴더를 /data 라는 공간으로 심볼링 링크를 걸어보았다.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7-11-20 21:33 named -> /data/named 현재 권한은 root 에서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root 로 지정이 되어 있다. symbolic link 를 걸고 소유자를 변경해 보았다. chown named:named /var/named > 전혀 소유자를 지정할 수 없었다.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7-11-20 21:33 ..
Pingusage: ping [-AaDdfnoQqRrv] [-b boundif] [-c count] [-G sweepmaxsize] [-g sweepminsize] [-h sweepincrsize] [-i wait] [−k trafficclass] [-l preload] [-M mask | time] [-m ttl] [-p pattern] [-S src_addr] [-s packetsize] [-t timeout][-W waittime] [-z tos] host ping [-AaDdfLnoQqRrv] [-b boundif] [-c count] [-I iface] [-i wait] [−k trafficclass] [-l preload] [-M mask | time] [-m ttl] [-p pattern] ..
여러 서버에서 한가지 작업을 할 때 꼭 필요한 것 중에 서로의 작업할 파일을 공유하는 문제가 있다.NAS 등을 이용하여 파일을 자원을 서로 공유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문제점 들을 내포하게 된다.첫째로는 하나의 스토리지에 저장할 용량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네트워크, 디스크 공간 등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는데이때 경로를 다르게 해서 NAS 를 하드웨어적으로 더 추가 혹은 DISK 등 추가하는 자원들이 많이 지게 된다고성능 시스템으로 점진적으로 진화되는데 이 경우에 백업까지 신경을 쓰게 된다면, 많은 이슈들을 내포하게 된다. 그래서 scalable 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서버들로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문제는 염려하지 않게 된다.물론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는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일정한 사이즈를 넘어서게 되면 성..